본문 바로가기

혈액형2

역사상 가장 많은 목숨을 살린 혈액형 발견의 선구자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현대에는 태어날 때부터 자신의 혈액형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까지는 혈액형에 대한 개념이 없어 무작위 수혈이  이뤄졌는데 성공률은 60%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키고 수혈의 성공률을 높인 획기적인 발전은  오스트리아의 병리학자인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 박사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목차1. 인류의 숙제 수혈의 잠금 해제 2. 혈액형 추가발견: AB형 발견 3. 노벨 수상자이자 인도주의자: 카를 란트슈타이너 박사 4. ABO 혈액형 발견의 영향: 10억 명의 생명 구함 1. 인류의 숙제 수혈의 잠금 해제카를 란트슈.. 2023. 11. 21.
혈액형 발견과 헌혈-인류의 생명을 살리다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인류는 오랜 세월 동안 수혈의 위험과 어려움에 직면해 왔습니다. 그러나 1616년,영국의 생리학자 윌리엄 하비가 혈액순환 원리를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시대가 열렸습니다.  이후 1901년 카를 란트슈타이너 박사가 혈액형을 발견하면서 헌혈의  안전성이 향상되었고, 혈액사업이 발전해 왔습니다. 목차1. 윌리엄 하비(William Harvey)의 혈액순환 발견 (1616년) 2.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 박사의 혈액형 발견 (1901년) 3. 수혈 암흑기와 제임스 블런델(James Blundell)의 성공 (1818년) 4. 한국에서 헌혈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2023.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