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의 건강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

by 맹글맹글 2023. 11. 27.

 

지구상의 모든 생물에는 유전자가 존재합니다

유전자는 생물의 세포를 구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담긴 유전의 기본단위입니다

오늘은 최근 생명공학계의 화두 유전자 가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전자 가위 기술 썸네일
유전자 가위 기술

목차

유전자 가위 기술의 발전

유전자 가위 기술의 현대적 적용

윤리적 고려와 불법적 활용 우려

유전자 가위 기술의 미래와 인류의 운명


유전자 가위 기술의 발전

1. 1865년 오스트리아의 유전학자, 그레고어 멘델의 발견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 그레고어 멘델은 1865년, 완두콩 실험을 
통해 유전법칙을 교과서에 기록하며 유전자 가위 기술의 초석을 다졌습니다.

 

2. DNA의 발견과 세대 전달

1903년에는 미국의 유전학자 월터 서턴 멘델이 염색체에 유전 정보가 
전달된다는 개념을 소개하며, 1944년에는 에이버리, 멕레오드, 맥카티가 
DNA가 유전 정보를 담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3. DNA: 생물의 비밀과 유전정보

DNA, 더 자세히 말하면 (Deoxyribonucleic Acid)은 모든 생물의 기능, 성장, 
그리고 후대로 전해지는 특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4. 유전정보의 네 가지 코드 조합

이 복잡한 유전정보는 네 가지 코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마치 컴퓨터가 1과 0으로 정보를 구성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인간의 경우 이 4가지 조합이 30억 쌍이나 있다 보니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상당히 방대합니다

 

5. 생명의 다양성과 DNA

세균, 물고기, 개구리, 생쥐, 원숭이, 오랑우탄, 인간 등 
모든 생물의 중요한 정보는 DNA에 담겨 있습니다.

 

DNA
DNA


유전자 가위 기술의 현대적 적용

1. 보이어와 코헨의 첫 유전자 가위 기술

1972년, 보이어와 코헨은 세균에 항생제에 저항할 수 있는 유전자를 
장착하는 연구에 성공하면서 첫 번째 유전자 가위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2.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의 등장

하지만 효율성과 안전성에 제한이 있었던 유전자 가위 기술에 
대한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2010년대에 등장한 '마법의 신기술'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가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어냈습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


윤리적 고려와 불법적 활용 우려

1. 유전자 가위 기술의 급속한 발전

유전자 분석 기술의 발전과 함께, 2003년에는 인간의 유전자지도를 완성했고, 
2016년에는 인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크리스퍼(CRISPR) 암 치료 임상시험이 승인되었습니다.

 

2. 윤리적 고려와 세계적 협의

2015년 국제 정상회의에서는 유전자 편집 연구에 대한 윤리적, 
법적 지침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허젠쿠이가 에이즈 감염 예방을 목적으로 배아에서 
유전자를 편집하면서 불법적인 활용 우려가 나타났습니다.

 

3. 사회적 불평등과 유전자 가위 기술

유전자 가위 기술의 도입으로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될 가능성과,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불법 사용 우려 등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유전자 가위 기술의 미래와 인류의 운명

1. 유전자 가위 기술의 미래

현재 유전자 가위 기술은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우리의 외모, 능력, 특성 
등을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사회적 협의와 투명한 연구

유전자 가위 기술의 미래는 다양한 의견과 논의를 거쳐 결정되어야 합니다. 
투명하고 윤리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만들어진 미래는 
인류의 진화와 불가피한 운명의 일환일 것입니다.

 

유전자 연구실
유전자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