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의 역사

라면의 역사

by 맹글맹글 2023. 9. 8.

 

요새 라면이라 하면 국수를 증기로 익힌 뒤 기름에 튀겨 말린 것에 분말 수프를 별도로 첨부한 즉석식품,

또는 그것을 물어 넣고 끓인 요리를 말합니다

 

빠른 식사나 간단한 야식으로 즐겨 먹고 세계 각지에서도 많이 소비됩니다

그렇다면 라면은 어떻게 탄생됐을까요?

 

라면의 유래

라면은 대체적으로 일본에서 라멘에서 유래된 것으로 많이들 생각하지만
중국 산시성(섬서성) '란저우'라는 곳에서 처음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그 이후 중국화교들이 요코하마에 있는 차이나타운에서 '라미엔'이라는 이름으로 팔기 시작하면서
라면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즉석라면의 시초

현재의 즉석식품 라면은 대만계 일본인인 안도 모모후쿠라는 사람이 
술집에서 튀김요리를 하는 요리사의 모습을 보고 착안하여 만들게 되었는데요

 

안도 모모후쿠 동상
안도 모모후쿠 동상


1958년부터 현재 닛신식품의 전신인 산시쇼쿠산에서 생산한 치킨라면입니다

 

닛신식품의 전신인 산시쇼쿠산에서 생산한 치킨라면
닛신식품의 전신인 산시쇼쿠산에서 생산한 치킨라면

 


한국라면의 시초

라면이 한국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63년 9원 15일이고
삼양식품에서 최초로 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한국 최초의 라면 삼양라면
한국 최초의 라면 삼양라면

 


한국라면의 역사

초기에는 쌀중심의 식습관을 가진 한국인에게 밀가루로 만든 라면이 별로 인기가 없었으나
1965년 정부가 혼분식 장려정책을 펼치면서 삼양라면의 시장 반응은 큰 호응을 얻게 되었고
이후 6년동안 매출이 300배나 증가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육수를 닭고기 육수를 사용하였고 이후부터는 소고기 육수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즉석자장면, 칼국수, 냉면 등의 다양한 제품이 나왔습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라면의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컵라면이 등장하여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다 1989년에 공업용 우지를 라면에 사용했다는 라면 우지파동 사건이 일어나 라면업계가 위축되고
삼양식품의 관련자가 구속되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라면 우지파동사건
1989년에 공업용 우지를 라면에 사용했다는 라면 우지파동사건



이 사건은 1997년 대법원의 무죄 판결로 끝을 맺었으나 삼양라면이 잠시 생산을 중단하게 되자
농심 라면에게 그 선두를 빼앗기게 됩니다
이후 농심이 출시한 신라면이 시장을 독차지하며, 30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켜내고 있습니다

 

농심 신라면 광고화면
농심 신라면 광고화면

 


라면의 세계화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라면을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중국이고 연간 408억 개의 라면을 소비합니다

그에 이어 인도네시아 139억 개, 일본은 53억 개, 베트남 43억 개 미국 40억 개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뒤를 이어 34억 개로 6위입니다

그러나 1인당 연간 소비량에서는 69개로 수십 년간 한국이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가장 늦게 라면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요새는 세계 최대의 라면 수출국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전 세계에서 한국 라면의 인기가 올라가면서 라면 종주국이라는 말까지 듣고 있습니다